1,2 |
1990. 11. 30 |
통합운영학교 건축의 공용공간에 관한 연구 |
3 |
2000. 11. 30 |
21세기를 대비하는 초중등교육환경의 대응방안 |
4 |
2001. 10. 24 |
미래학교의 사이버 교육에 대응한 교육환경의 변화 |
5 |
2002. 11. 08 |
생태 및 에너지를 활용한 학교건축의 계획방향 |
6 |
2004. 01. 30 |
교육환경 변화에 따른 학교시설의 교육개선방향 |
7 |
2005. 01. 29 |
친환경을 위한 학교시설의 계획방향 |
8 |
2005. 06. 10 |
학교시설에 이어서 민간투자사업 활성화를 위한 방향 |
9 |
2006. 02. 08 |
친환경인증을 위한 학교건축의 제도적 개선방향 |
10 |
2007. 01. 25 |
학교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 활성화 방안 |
11 |
2008. 01. 24 |
학교시설 안전인증 제도화의 필요성 |
12 |
2009. 02. 05 |
내진 우선도 평가 가이드 라인 |
13 |
2010. 01. 20 |
그린스쿨을 위한 친환경 인증세부기준 교육 |
14 |
2011.01.20 |
학교시설 개선사업의 통합적 추진을 통한 효율화 방안 |
15 |
2011.11.18 |
국내 학교안전강화사업 추진실적과 계획 |
16 |
2012.01.24 |
학교시설 내진보강의 효율화 방안 |
17 |
2013.01.24 |
녹색건축물조성지원법 시행에 따른 녹색학교 건축계획방향 |
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인증제 정책방향과 저탄소녹색학교 구현방안 |
19 |
2014.01.23 |
에너지효율향상을 위한 교육시설 대응방향 |
안전한 교육시설확보를 위한 내진성능평가 방향 |
20 |
2015.01.16 |
교육환경 개선을 위한 기존학교 리모델링 계획방향 |
BEMS 적용을 통한 교육시설 에너지관리 방향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