Loading...
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
개축 타당성 연구
  • home
  • 연구사업
  • 개축 타당성 연구

노후학교 개축타당성 판별기법 필요성

노후화된 학교시설에 대하여 안전한 교육시설 환경 및 여건을 마련하기 위해 기존시설을 다각적으로 검토하여 개축과 리모델링에 대한 사업 추진 방향성을 제시

사회적 변화
  • 학교 건축물 안전 확보에 대한 요구
  • 교육환경개선을 위한 학부모 간담회 등 교육환경개선에 대한 인식 변화
  • 학습 뿐만 아니라 놀이, 휴식, 균형, 디지털 환경 등 미래학교 전환에 대한 수요
시대적 변화
  • 구조 중심의 판단 기준에서 기능 중심의 판단 기준의 중요성 확대
환경적 변화
  • 미세먼지, 오존층 파괴 등으로 인한 외부공간의 제약 발생
  • 실내활동공간확보 요구 증가

노후 학교 개선 필요성 증가

노후학교 개축타당성 판별기준

학교시설의 환경개선을 위해서는 단편적 측면의 고려보다는 미래사회의 요구 조건 등을 담을 수 있는 종합적 검토를 통한 합리적 판단기준이 필요

구조 안전성
  • 안전등급, 구조내구성
  • 기울기 및 침하, 부재 내하력
기능 및 성능성
  • 배치 및 평면
  • 노후도, 각종 인증 기준
  • 미래사회의 요구 조건
경제성
  • LCC(Life Cycle Cost)분석을 통한 정량적 결과

노후학교 개축타당성 판별 절차

  1. 학교현황(설립연도, 증축연도, 연면적 등)입력 또는 에듀빌에서 DB연동 * 경제성 대응 부분은 기 특허 등록된[건축물의 개축 및 리모델링 분석 장치 및 분석방법(2022.06.29)]의 KDCA시스템을 연계 활용
  2. 대상학교 부합조건 분석
  3. 적정평가지표 설정 *시도교육청별 특성에 맞는 기준 적용 기능
  4. 기능 및 성능성 평가
    • 교육과정 대응(적정규모, 공간구성)
    • 건축환경 대응(연계성, 환경성, 안전성)
    • 시설노후도
    • 각종 인증 대응
    구조 안전성 평가
    • 구조적 안전성 대응
    경제성(LCC) 평가
    • 경제성 대응
  5. 개축/리모델링 판별 커트라인 대안 설정
    (분야별 커트라인 기준 점수를 토대로 여러가지 대안 설정 필요)
    * 전문가 설문(통계)를 통해 기준 설정이 자유롭게 기능 설정
  6. 공사유형 판별

    일상적 유지/관리 유지
    (Maintenance)

    리노베이션 유리
    (Renovation)

    개축 유리
    (Reconstruction)

    증축 필요
    (Extend)

노후학교 개축타당성 판별 시스템

KDCA(KEGE Decision through Cost Analysis)

기존 시설의 교육환경, 각종 인증현황 분석, 발주청 기준단가 적용을 통한 LCC 검토 등 종합적인 분석을 통한 타당성 분석 시스템

DB 정보 입력
자재별 선택표 신재생 설치비율 냉방기기 비율별 BEMS 등급별 인증별 공사비 프로젝트별 평가지표 DB 델파이 및 AHP 분석 DB 가중치 및 판별 기준 DB 스페이스프로그램 과부족 DB

고도화시 추가항목

공사비 산정
일반사항 개축 공사비 리모델링 공사비 공사비 결과

DB정보 선택적 입력

공사비 추천 및 선정
일반적 공사비 공사비 비교 선택적 공사비

Kakao Channel 바로가기